상세정보
삶의 의미
- 저자
- 김시종 저
- 출판사
- 좋은땅
- 출판일
- 2021-05-28
- 등록일
- 2021-09-24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28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필자가 남들보다 문학하기에 유리한 조건은,
어려서부터 너무 가난하여 끊임없는 인생고를 겪어 오면서
깊이 있는 삶을 살아, 인생고야 말로 문학의 스승이 되었다.
필자는 고등학교 2학년 시절에 제대로 되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
극심한 가정 빈곤, 육체적 쇠약, 정신적 방황 등 극도의 위기에
둘러싸여 있었다. 심각한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 찾아낸 것이 성경이었다.
성경을 읽으면서 18세의 필자는
새 하늘과 새 땅을 발견하게 되는 새 삶을 얻게 되었다.
인생고 해결을 위해 의도적으로 한 성경읽기가
나의 행로에 밝은 등불이 되어 주어,
실패를 딛고 일어나 성공을 향해 차츰 나아가게 됐던 것이다.
산문 <비결은 없다> 중에서…
저자소개
1942년 1월 14일 경상북도 문경 점촌에서 태어났다. 196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 시집 『오뉘』, 『보라빛 목련』, 『자유의 여신상』 등 40여 권이 있고, 산문집 『사장풍년』 등이 있다. 한국시인협회 상임위원, 한국현대시인협회 지도위원, 영강시안주간이며, 2004년 문경중학교 교장으로 정년퇴임하였고, 황조근정훈장을 수훈했다. 현재 [세명일보] 칼럼을 집필하고, 문경대학 이사, 미산올곧문예상 운영회장, 국제 펜클럽 한국본부 자문위원으로 있다.
목차
책머리에 · 4
제1부 1960년대
도약(跳躍) · 15
옥수수 · 16
청시(靑?) · 17
고가(古家) 1 · 18
어머니 1 · 19
꽃신 · 20
삶 · 21
어머니 2 · 22
밤 · 23
후레아들 · 24
뚝배기 · 25
오뉘 · 26
삼베댕기 · 27
사바 · 28
흙 한 뜸 · 29
할매 · 30
아리랑 · 31
인연 1 · 32
보릿고개 · 33
이별 · 34
제2부 1970년대
수로가(水路歌) · 37
자장가 · 39
별후(別後) · 40
낙과(落果) · 41
칡 · 42
썩정이 · 43
생활찬가 1 · 44
불가사리 · 46
우는 농 · 48
할머니 · 50
혼일(婚日) · 51
촌장헌화가 · 52
피물상(皮物商) · 54
생활찬가 2 · 56
외팔이 춘희 · 57
마법의 방 · 60
대나무는 · 62
미궁의 사내 · 63
소년백결 · 65
쌍화점 · 67
제3부 1980년대
삶의 의미 1 · 71
보라빛 목련 · 72
인연 2 · 74
라일락 · 75
거미 · 76
교정의 소리 · 78
겨울 소나무 · 80
꿈속의 사병 · 82
불면 · 84
시각 · 85
물엿 · 86
일상 · 88
겨울 플라타너스 · 90
썩지 않는 눈 · 92
자유의 여신상 · 94
영재시승 · 96
돌 속의 성자 · 97
신(神)의 베레모 · 98
삶의 의미 2 · 99
아빠란 말 · 100
제4부 1990년대~정년퇴임
억새 · 103
추억에서 · 104
반백(半白)의 진실 · 105
부자(父子) · 106
평범한 것 · 108
사는 법 1 · 109
사춘기 · 110
농촌 폐교장 · 111
가요무대 · 112
대머리의 변명 · 113
새벽길 소년 · 114
말(言語) · 115
인과응보 · 116
무소유 · 117
홀 어머님을 여의고 · 118
수학여행 · 119
행복한 시절 · 120
각시(覺詩) · 121
어떤 성묘 · 122
늦깍이 · 123
제5부 정년퇴임 후
자유 · 127
석양의 기도 · 128
사는 법 2 · 129
송이버섯 · 130
모전초등학교 교가 · 131
작은 새재, 이화령 · 132
고가(古家) 2 · 133
동고동락 · 134
길 · 135
봄밤 · 136
후박나무 · 137
부상 · 138
멋진 낚시꾼 · 139
아버지 · 140
엄마 · 141
최상의 음악 · 142
애견 차돌이 문양석 · 143
밀경(密耕) · 144
기다리는 마음 · 145
낮달 · 146
제6부 산문
노래의 날개 위에 · 149
100년 된 감나무가 있는 집 · 152
할아버지의 판단 착오와 가족의 시련 · 156
두 분의 큰 스승님 · 159
64년 만에 갚은 점심 빚 · 162
산고수장의 고장 문경 들여다보기 · 164
미빨이(점촌) 장날의 추억 · 168
내 고향 중신기 · 172
김선식 효자 사기장(청화 백자장) · 175
비결은 없다 · 178
시(詩)는 예술이다 · 181
제7부 시평
양심을 씨 뿌리는 농부 - 정재호 · 185
수로가 - 김우창 · 186
욕망의 억압과 자유 찾기 - 김석환 · 187
김시종 시인 - 조향순 · 189
시로 숨 쉬는 김시종 시인 - 정성수 · 194
꿈의 흔적을 찾아가는 휴머니스트 - 정신재 · 196
김시종의 노래
어머니 생각 · 201
뚝배기 · 207
김시종(金市宗) 약력 · 210
편집 후기 - 안경희 ·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