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평생 소장할 가치가 있는 한 권의 책을 만들고 싶었다.”
“만일 내가 단 한권의 책을 만들 수 있다면?”
이러한 의문 속에 도달한 결론은 단 하나였다.
‘최고의 명작’.
세계적인 화가 4인의 명화와 한국 대표 시인 4인의 시를 하나로 모았다.
그들은 재가 되었지만, 세월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람들의 가슴속에 살아 숨 쉬는 그들의 찬란한 생의 불꽃을, 지친 현대인들의 차가운 가슴을 녹여줄 따듯한 명작들을 책 한 권으로 펴냈다.
저자소개
1902년 9월 7일 평안북도 구성군에 있는 외가에서 부친 김성도와 모친 장경숙의 장자로 출생한다. 본명은 김정식이다. 태어난 지 백일 후부터 평안북도 정주군 곽산면의 본가에서 자란다. 1904년 부친 김성도가 당시 경의선 철도 부설공사를 하던 일본 목도꾼에게 폭행을 당한 이후 정신 이상 증세에 시달린다. 김소월은 광산을 경영하는 할아버지의 손에서 컸는데, 이 무렵 시인의 길로 가도록 영향을 준 숙모 계희영을 만났다. 1915년 평안북도 곽산의 4년제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평안북도 정주에 있는 오산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 김억과 사제관계를 맺게 되고 한시, 민요시, 서구시 등을 본격적으로 접하게 된다. 후에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하여 1923년 졸업했다. 이후 일본 도쿄 상과대학교에 입학 후 귀국했을 시점에 시인 나도향과 만나 친구가 되었다. 일제강점기 시절 이별과 그리움을 주제로 우리 민족의 한과 슬픔을 노래하는 시를 썼다. 김소월은 자신의 문학적 스승인 김억의 격려를 받아 그의 지도 아래 시를 쓰기 시작하였으며 1920년 「낭인(浪人)의 봄」, 「야(夜)의 우적(雨滴)」 등 5편을 소월(素月)이라는 필명으로 동인지 『창조』 5호에 처음으로 시 「그리워」를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오산학교를 다니는 동안 김소월은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으며, 1921년 [동아일보]에 「봄밤」, 「풀 따기」 등을 발표했다. 1922년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를 개벽지에 발표하였으며, 1925년에 시론 「시혼(詩魂)」을 발표하고, 같은 해 7월호에 떠나는 님을 진달래로 축복하는 한국 서정시의 기념비적 작품인 『진달래꽃』을 발표하여 크게 각광받았다. 이는 시인이 생전에 낸 유일한 시집으로 기록된다. 그 밖에 1923년 『깊고 깊은 언약』 『접동새』 1924년 『밭고랑 위에서』 『생과 사』 1926년 『봄』 『저녁』 『첫눈』 1934년 『제이, 엠, 에스』 『고향』 등을 발표했다.
1923년 도쿄상업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같은 해 9월 관동대지진이 발생하자 중퇴하고 귀국했다. 김소월은 고향으로 돌아간 후 조부가 경영하는 광산일을 돕다가 처가가 있는 구성군으로 거처를 옮겼다. 이어 1926년평안북도 구성군 남시에서 [동아일보 지국]을 개설하고서 이도 실패하자 극도의 빈곤에 시달리기도 했다. 예민한 성격이었던 김소월은 이에 큰 충격을 받았으며, 이후 류머티즘을 앓으며 친척들에게도 대접을 받지 못하는 등 고생하다가 1934년 12월 24일 만 32세의 나이로 평안북도 곽산에서 아편을 마시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939년 스승 김억이 엮은 『소월시초(素月詩抄)』가 발간된다. 1977년 [문학사상] 11월호에 미발표 소월 자필 유고시 40여 편이 발굴, 게재된다.
목차
/ 윤동주 - 빈센트 반 고흐
1. 서시 ─ 론강의 별이 빛나는 밤에 ? 014
2. ?눈 ─ 해질녘의 눈 덮인 들판을 파고 있는 두 농부 여인 ? 016
3. 자화상 ─ 귀가 잘린 자화상 ? 018
4. 참회록 ─ 밤의 프로방스 시골길 ? 020
5. 새벽이 올 때까지 ─ 아를의 반 고흐의 방 ? 022
6. 봄 ─ 봄날의 끌리쉬 다리와 세느 강둑 ? 024
7. 쉽게 쓰여진 시 ─ 까마귀가 있는 밀밭 ? 026
8. 편지 ─ 소설 읽는 여인 ? 028
9. 별 헤는 밤 ─ 별이 빛나는 밤 ? 030
10. 돌아와 보는 밤 ─ 사이프러스 나무 ? 034
11. 새로운 길 ─ 오베르의 거리 ? 036
12. 태초의 아침 ─ 삼나무가 있는 밀밭 ? 038
13. 무서운 시간 ─ 무덤에서 일어나는 나자로 ? 040
14. 길 ─ 랑글루아 다리 ? 042
15. 눈 감고 간다 ─ 노란 집 ? 044
16. 바람이 불어 ─ 폭풍이 몰려오는 하늘 아래 풍경 ? 046
17. 내일은 없다 ─ 아를르의 포룸 광장의 테라스 ? 048
18. 코스모스 ─ 오베르쉬르 우아즈 정원 안의 가셰 양 ? 050
19. 거리에서 ─ 지느러미 모양의 풍차 날개 ? 052
20. 이별 ─ 아니에르의 센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 ? 054
21. 종달새 ─ 종달새가 있는 밀밭 ? 056
22. ?꿈은 깨어지고 ─ 다리 근처에서 센 강을 건너는 두 척의 배 ? 058
23. 삶과 죽음 ─ 초원 꽃과 장미 ? 060
24. 십자가 ─ 오베르-쉬르-우아즈의 교회 ? 062
25. 조개껍질 ─ 생트 마리 해변의 고깃배 ? 064
26. ?창 구멍 ─ 폭풍이 몰아치려는 듯한 해질녘의 농가와 사이프러스 ? 066
27. 공상 ─ 아를의 여인 ? 068
28. 기왓장 내외 ─ 오베르의 집 ? 070
29. 햇비 ─ 아를의 붉은 포도밭 ? 072
30. 비행기 ─ 몽마르트 언덕의 풍차 ? 074
31. 둘 다 ─ 프로방스의 농가 ? 076
32. ?달 밤 ─ 초승달 아래 올리브 나무들 사이를 거니는 한 쌍의 커플이 있는 산 풍경 ? 078
33. 반딧불 ─ 풀숲 ? 080
34. 풍경 ─ 초록빛 포도밭 ? 082
35. 아우의 인상화 ─ 첫걸음(밀레 모작) ? 084
36. ?햇빛 바람 ─ 성벽 근처의 산책하는 사람들과 철도 마차 ? 086
37. 해바라기 얼굴 ─ 해바라기 ? 088
38. 애기의 새벽 ─ 꽃피는 아몬드나무 ? 090
39. ?간 ─ 담으로 둘러싸인 밀밭과 낟가리 위로 달이 뜨는 풍경 ? 092
/ 김소월 - 클로드 모네
1. 첫사랑 ─ 인상(해돋이) ? 096
2. 진달래 꽃 ─ 아르장퇴유의 양귀비 밭 ? 098
3. 먼 후일 ─ 아르장퇴유의 연못 ? 100
4. 엄마야 누나야 ─ 수련 ? 102
5. 바람과 봄 ─ 봄 ? 104
6. 눈 ─ 아르장퇴유의 설경 ? 106
7. 산유화 ─ 네덜란드의 튤립 ? 108
8. 바다 ─ 에트르타, 해변의 배들 ? 110
9. ?해가 산마루에 저물어도 ─ 해가 지는 크뢰즈의 계곡 ? 112
10. 님과 벗 ─ 아네모네가 있는 정물 ? 114
11. 밤 ─ 꿩이 있는 정물 ? 116
12. 꿈꾼 그 옛날 ─ 카미유, 녹색 옷을 입은 여인 ? 118
13. 눈 오는 저녁 ─ 아르장퇴유의 눈 내린 풍경 ? 120
14. 자주 구름 ─ 보르디게라 ? 122
15. 부모 ─ 루이 조아킴 고디베르 부인 ? 124
16. 붉은 조수 ─ 프루빌 절벽 위의 산책 ? 126
17. 불운에 우는 그대여 ─ 페캉, 바닷가 ? 128
18. 천리만리 ─ 생 라자르 역 ? 130
19. 닭소리 ─ 임종을 맞은 카미유 ? 132
20. 못 잊어 ─ 붉은 스카프의 카미유 모네 ? 134
21. 자나 깨나 앉으나 서나 ─ 생타드레스의 테라스 ? 136
22. 구름 ─ 센 베네쿠르 강변에서 ? 138
23. 가는 길 ─ 아르장퇴유 근처, 포플러 나무가 있는 풀밭 ? 140
24. 첫 치마 ─ 봄날, 독서하는 여인 ? 142
25. 개여울 ─ 트루빌 해변 ? 144
26. 금 잔디 ─ 몽소공원의 풍경 ? 146
27. 옷과 밥과 자유 ─ 석탄을 내리는 사람들 ? 148
28. 고적한 날 ─ 아르장퇴유의 다리 ? 150
29. 접동새 ─ 수련 ? 152
30. 반달 ─ 양산을 쓰고 왼쪽으로 몸을 돌린 여인 ? 154
31. 그를 꿈꾼 밤 ─ 보르디게라의 빌라들 ? 156
32. 님의 말씀 ─ 아르장퇴유 ? 158
33. 님에게 ─ 빌 다브레 정원에 있는 여인들 ? 160
34. 꽃촉불 켜는 밤 ─ 아틀리에 한 구석 ? 162
35. 부귀공명 ─ 자화상 ? 164
36. 사노라면 사람은 죽는 것을 ─ 들판의 기차 ? 166
37. 나는 세상모르고 살았노라 ─ 지베르니의 건초더미 ? 168
/ 한용운 - 오귀스트 르누아르
1. 여름밤이 길어요 ─ 바느질하는 젊은 여인 ? 172
2. 꽃이 먼저 알아 ─ 꽃이 있는 정물 ? 174
3. 사랑 ─ 초원에서 ? 176
4. 하나가 되어 주셔요 ─ 바다 경치 ? 178
5. 사랑의 존재 ─ 산책 ? 180
6. 사랑하는 까닭 ─ 진 사마리의 초상 ? 182
7. 고적한 밤 ─ 국화 ? 184
8. 자유정조 ─ 숲 속 ? 186
9. 꿈과 근심 ─ 줄리마네의 초상 ? 188
10. 떠날 때의 님의 얼굴 ─ 여름 ? 190
11. 복종 ─ 자신감 ? 192
12. 버리지 아니하면 ─ 호박이 있는 정물 ? 194
13. 나룻배와 행인 ─ 차투의 노 젓는 사람 ? 196
14. ?‘사랑’을 사랑하여요 ─ 검은색 모자를 쓴 어린 소녀 ? 198
15. 차라리 ─ 오달리스크 ? 200
16. 님의 침묵 ─ 피아노 치는 여자 ? 202
17. 산촌의 여름 저녁 ─ 오리 연못 ? 204
18. 생의 예술 ─ 물 뿌리개를 든 소녀 ? 206
19. 독자에게 ─ 꽃 ? 208
20. 진주 ─ 낚시꾼 ? 210
21. 인 연 설 ─ 물가 ? 212
22. 당신은 ─ 가브리엘과 장 ? 214
23. 길이 막혀 ─ 키 큰 잔디 속의 길 ? 216
24. 나의 꿈 ─ 우산 ? 218
25. 알 수 없어요 ─ 의자 나무 ? 220
26. 달을 보며 ─ 편지를 들고 있는 여인 ? 222
27. 당신이 아니더면 ─ 두 자매 ? 224
28. 나는 잊고자 ─ 라 그르누예르 ? 226
29. 이별은 미의 창조 ─ 두 소녀 ? 228
30. 선사의 설법 ─ 부지발의 무도회 ? 230
31. 비바람 ─ 베니스 산 마르코 광장 ? 232
/ 김영랑 - 에드가 드가
1. 모란이 피기까지는 ─ 자화상 ? 236
2. 그 밖에 더 아실 이 ─ 압생트 ? 238
3. 미움이란 말 ─ 초록 옷을 입은 무용수들 ? 240
4. 달 ─ 두 무용수 ? 242
5. 바람 따라 가지오고 ─ 시골 경마장 ? 244
6. 함박눈 ─ 따오기를 안은 아가씨 ? 246
7. 내 옛날 온 꿈이 ─ 밀스의 초상화 ? 248
8. ?땅거미 ─ 스페인 출신 테너 로렌조 파간과 화가의 아버지 오귀스트 드가 ? 250
9. 빛깔 환히 ─ 분홍색과 초록색의 무용수들 ? 252
10. 그대는 호령도 하실 만하다 ─ 벨렐리 가족 ? 254
11. 황홀한 달빛 ─ 무대 위의 두 무용수 ? 256
12. ?강선대 돌바늘 끝에 ─ 페르난도 서커스의 미스 랄라 ? 258
13. 낮의 소란 소리 ─ 발레 수업 ? 260
14. 눈물에 실려 가면 ─ 꽃화분 옆에 앉아있는 여인 ? 262
15. 뉘 눈결에 쏘이었소 ─ 대기 ? 264
16. 마당 앞 맑은 새암을 ─ 회색의 여인 초상화 ? 266
17. 제야 ─ 무대에서 발레 리허설 ? 268
18. 한줌 흙 ─ 발레 연습 ? 270
19. 북 ─ 파리 오페라의 오케스트라 ? 272
20. 언 땅 한길 ─ 여성복 상점 ? 274
21. 발짓 ─ 바에서 연습하는 무용수들 ? 276
22.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 목욕통 ? 278
23. 언덕에 바로 누워 ─ 머리 빗질 ? 280
24.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 르 펠레 티에 거리 오페라의 댄스홀 ? 282
25. 물 보면 흐르고 ─ 목욕 후에 몸을 말리는 여인 ? 284
26. 오월 ─ 무대 위 발레 리허설 ? 286
27. 독을 차고 ─ 발레 무용수들 ? 288
28. 물소리 ─ 카드를 쥐고 있는 카사트양의 초상 ? 290
29. 내 마음 아실 이 ─ 뉴올리언스의 목화 거래소 ? 292
30. 강물 ─ 무용 수업 ? 294
31. 거문고 ─ 밀리너 가에 ? 296